본문 바로가기
유익한 정보

[경기도 간병비 지원 + 저소득 노인 + 2025년 시행] 간병비 부담 줄인다! ‘경기도 간병 SOS 프로젝트’

by citybrospapa 2025. 3. 11.
반응형

💸 간병비 부담,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다

최근 ‘간병파산’, ‘간병지옥’, ‘간병살인’이라는 신조어가 등장할 만큼 간병비 부담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어요.

실제로 하루 평균 간병비가 2018년 8만 2,000원에서 2023년 12만 7,000원으로 50% 이상 상승했는데요. 고물가와 인건비 상승, 그리고 고령화로 인해 간병비 부담은 점점 커지고 있어요.




📊 간병 경험자 96% “간병비 부담 크다”

민주노총 보건의료노조가 발표한 ‘간병에 대한 인식조사*에 따르면, 간병인을 쓴 경험이 있는 국민 96%가 간병비가 부담스럽다고 응답했어요.

🔹 간병 경험자 중 간병인을 이용한 비율
👉 53.4% (가족 간병 46.6%보다 높음)

🔹 간병비 부담 수준
👉 59.5%: “너무 비싸서 매우 부담스럽다”
👉 36.5%: “조금 비싼 편이어서 약간 부담스럽다”

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기도가 광역지자체 최초로 저소득 노인을 위한 간병비 지원 사업을 추진합니다.


🏥 ‘경기도 간병 SOS 프로젝트’ 2025년 시행

경기도는 저소득층 노인의 간병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‘경기도 간병 SOS 프로젝트’를 2025년부터 시행할 예정이에요.

✅ 지원 대상

📌 경기도 거주 65세 이상 저소득 노인 중 아래 조건 충족
1️⃣ 도내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저소득계층 노인
2️⃣ 상해·질병 등으로 인해 병원급 의료기관 이상에서 간병 서비스를 받은 자

✅ 지원 내용

💰 1인당 연간 최대 120만 원 간병비 지원
📌 6인 공동병실 간병비(1일 2만 원) 기준 60일분에 해당

✅ 지원 절차

1️⃣ 대상자가 간병업체(간병인)에게 간병비 지급
2️⃣ 사후 심사 후 시·군에서 지급

📌 [관련 정보] 경기도 간병비 지원 신청 방법 보기

 


💡 간병비 지원, 어떤 의미가 있을까?

🏥 전국 최초 광역지자체 간병비 직접 지원
👉 환자 본인에게 직접 간병비를 지원하는 것은 경기도가 처음이에요.

📈 간병비 부담 완화 & 국가 간병지원체계 마련 촉구
👉 이번 사업은 국가 차원의 간병비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시범사업 역할을 하게 돼요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