잡다한 금융상식

세무사 없이 준비하는 종합소득세 신고 체크리스트

citybrospapa 2025. 5. 1. 00:37
반응형

자, 이제 은퇴자분들도 종합소득세 신고를 준비해야 할 시기예요.
5월이 오기 전에 미리미리 준비하면 훨씬 마음이 편하겠죠?
아래 체크리스트로 하나하나 점검해 보세요!


1. 내 소득 유형부터 정확히 파악하기

종합소득세 신고는 ‘소득’이 있어야 하는 거 아시죠?
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소득은 단순히 월급만이 아니에요.

✔️ 국민연금, 공무원연금 같은 공적연금 소득
✔️ 연금저축, IRP에서 받는 사적연금 소득
✔️ 사업소득, 임대소득, 이자소득, 배당소득, 기타소득

이렇게 다양한 소득이 모두 합쳐서 ‘종합소득’이 된답니다.

👉 공적연금만 받고 다른 소득이 없다면?

  • 원천징수로 끝나서 별도 신고 필요 없음!

👉 사적연금 소득이 연간 1500만 원 넘으면?

  •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이 됩니다.

소득 종류별로 내가 신고해야 할지 먼저 파악하세요!


2. 공적연금 원천징수 내역 확인하기

국민연금공단이나 사학연금공단 등에서
이미 소득세를 원천징수했을 수 있어요.

💡 체크 포인트

  • 연금 소득원천징수 영수증 받기
  • 인적공제(배우자, 부양가족) 반영 여부 확인하기
  • 변동사항 있으면 연말까지 수정 신고하기

혹시 부양가족이 생기거나 줄었다면 꼭 알려야 해요!
그렇지 않으면 세금이 과다 부과될 수 있어요.


3. 사적연금 수령 내역 꼼꼼히 따지기

연금저축, IRP 등에서 받는 연금은 좀 더 주의해야 해요.

사적연금 소득, 이거 체크하세요!

  • 세액공제 안 받은 금액은 과세 안 함
  • 퇴직소득 이연분은 분리과세로 끝
  • 세액공제 받은 저축금과 운용수익은 과세 대상

👉 연간 수령액 1500만 원 초과하면?
종합과세 대상이므로 꼭 신고해야 합니다.

수령 금액 조정이 가능하면 연간 1500만 원 밑으로
나눠서 받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!


4. 국세청 홈택스 미리보기 기능 활용하기

"내가 과연 신고 대상일까?"
헷갈린다면 국세청 홈택스에서 '신고도움 서비스'를 이용해 보세요.

홈택스에서 제공하는 정보

  • 원천징수 내역
  • 금융소득 합계
  • 필요 경비, 공제 항목 등

초안 자료를 보면서 빠진 부분이 있는지 체크하고,
꼭 수정·보완해서 최종 신고를 준비하세요.

 

국세청 홈택스

 

hometax.go.kr

 


5.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고르기

요즘은 굳이 세무서 가지 않아도
집에서 스마트하게 신고할 수 있어요.

신고 방법은 이렇게!

  • 국세청 홈택스 웹사이트 이용
  • 모바일 손택스 앱으로 간편 신고
  • 세무대리인에게 맡기기

은퇴자분들은 소득이 복잡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니
홈택스, 손택스로 직접 신고하는 것도 어렵지 않아요!


✅ 정리해볼게요!

체크리스트 항목 준비 완료 여부
내 소득 유형 파악 🔲
공적연금 원천징수 내역 확인 🔲
사적연금 수령 내역 점검 🔲
홈택스 신고도움 자료 확인 🔲
신고 방법 결정 🔲

이제 이 리스트만 체크하면 5월 종합소득세 신고,
겁먹을 필요 전혀 없겠죠?

조금 귀찮더라도 차근차근 준비해서
쓸데없는 세금은 줄이고,
받을 수 있는 환급은 꼭 챙기세요! 😊

반응형